소방기술사

물분무설비가 B,C급 화재에 적응성 있는 이유 / 물분무설비 복사열 차단 원리

this’myworld 2024. 11. 5. 22:53
반응형


< 물분무설비가 B급, C급 화재에 적응성 있는 이유 >


1. 개요

1) 물분무시스템은 물 입자에 운동성을 부여하여 스프링클러설비보다 물 입자 크기를 작게 하여 방사하는 시스템
2) 스프링클러설비는 A급 화재에 적응성 있지만 물분무설비는 A, B, C급 화재에 적응성을 가짐

2. B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이유

1) 일반물의 경우

(1) 극성관점 : 물의 경우 극성공유결합을 하므로 비극성인 기름과는 혼합이 안됨
(2) 비중관점 : 물보다 비중이 낮은 유류의 경우 화재 확대를 초래함

2) 물분무의 경우

(1) 물분무 입자를 충분한 속도에너지를 가지고 방사하면 유면에서 물과 기름이 혼합되어 얇은 유화층이 형성됨
(2) 유화층이 유면을 덮는 것을 유화작용이라고 하며 효과적인 소화가 가능


3.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이유

분무상 물은 스프링클러에서 방출되는 큰 물방울과 달리 전기적 절연성이 높아 감전의 염려가 없으므로 일정한 간격만 유지하면 전기화재에도 적응성 있음

출처 unsplash


< 물분무설비가 복사열을 차단하는 원리 >


1. 복사 수열량 관점

  3) 의미

    (1) 위의 세 가지 식의 공통점은 모두 면적 A를 포함한다는 것
    (2) 분무상태의 물은 큰 물방울에 비해 그 표면적이 현저히 커지므로 열 흡수속도가 빨라 복사열을 신속히 흡수함
    (3) 분무상 물은 쉽게 증발하여 증발잠열에 의한 냉각효과가 크고 증발하면서 체적이 크게 팽창하여 연소면을 덮는 효과도 있으므로 복사열 차단효과 우수

2. Lambert - Beer 법칙 관점

1) Lambert-beer 법칙


2) 의미

  (1) 분무상태의 물은 큰 물방울에 비해 물 입자 농도가 높아 흡수계수(k)가 크고 물 입자 두께(L)가 두꺼워지므로 감광률이 커지며 이것이 복사열 차단효과 증대로 이어짐





반응형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무소화설비 성능목적, 화재시험 시 고려사항  (0) 2024.11.08
미분무소화설비  (0) 2024.11.06
물분무설비 2편  (2) 2024.11.05
물분무설비 1편  (0) 2024.11.04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준  (1) 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