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물분무설비 2편

this’myworld 2024. 11. 5. 22:21
반응형

 

< 물분무설비-2 > 

 
6. 물분무 소화설비의 살수밀도 및 수원
 

소방대상물기준면적살수밀도방사시간
특수가연물 저장 또는 취급바닥면적10 lpm/㎡20 min
절연유 봉입 변압기바닥면적을 제외한 표면적10 lpm/㎡
컨베이어벨트벨트부분의 바닥면적10 lpm/㎡
케이블트레이, 케이블덕트투영된 바닥면적12 lpm/㎡
차고 또는 주차장바닥면적20 lpm/㎡
위험물 저장탱크원주길이 적용37 lpm/㎡

 
 
7. 물분무 소화설비 배수설비(차고 또는 주차장)  - "경유배기"
 
1)경계턱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cm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 설치
 
2) 기름 분리장치( 유분리장치)
  배수구에는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기이 40m 이하마다 집수관/소화피트 등 기름분리장치 설치
 
3) 배수설비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 최대송수능력의 수량으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는 크기 및 기울기로 할 것
 
4) 기울기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2/100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8. 설계목적 - "소연노예"
 
1) 소화(Extinguishment of fire)
    - 다량의 물입자가 열방출률을 급감시켜 직접 소화
    - 냉각, 질식, 희석, 유화에 의해 달성
    - 살수밀도 : 케이블트레이(6.1lpm/㎡), 컨베이어 벨트(10.2lpm/㎡)
 
2) 연소제어
    - 열방출률을 급격히 감소시키지는 못하지만 서서히 감소시켜 화세 제한
    - 살수밀도 : 인화성 및 가연성 액체 액면화재(12.2lpm/㎥), 펌프/컴프레셔(20.4lpm/㎡)
 
3) 연소확대 방지 (=노출부분 방호)
    - 분무된 물이 화재로부터 전달되는 열확산 차단
 
4) 출화예방
    - 인화성 물질의 용해, 희석, 냉각 및 증기농도를 연소하한계 이해로 감소시켜 출화예방


9. 소화원리 (NFPA 15 참고)

1) 냉각작용
    - 연소면 전체를 물방울이 덮을 경우 효과적인 냉각 가능
    - 인화성 액체, 가스 생성물에 대해서는 효과 없음
    - 인화점 60도 미만 가연성 액체는 적응성 낮음
2) 질식작용
    - 물이 기화 시 체적 팽창으로 수증기가 가연물 피복을 질식
    - 물방울 크기가 작은 경우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크므로 질식효과 우수
    - 물분무설비가 화재발생구역 전체에 설치되고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충분한 화재강도이어야 함
3) 희석작용
    - 수용성 액체 위험물을 비인화성 농도로 희석
4) 유화작용
    - 비수용성 가연성 액체 위험물에 해당


5) 기타요인
    - 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시켜 온도가 내려가면서 급격히 냉각


10. 적응성과 비적응성

1) 적응성

  (1) 인화성 가스 및 액체류
  (2) 전기적 위험 : 변압기, 유입개폐기, 전동기, 케이블 트레이 & 선
  (3) 일반가연물 : 종이, 목재, 직물
  (4) 특정한 위험성이 있는 고체

2) 비적응성

  (1) 물에 심하게 반응하는 물질 / 물과 반응하여 위험한 물질을 생성하는 물질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2) 고온의 물질 및 증류범위가 넓어 끓어 넘칠 위험이 있는 물질을 저장 취급하는 장소
  (3) 운전 시 표면온도가 크게 올라가(260도) 직접 분무하는 경우 그 부분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는 기계장치 등이 있는 장소


11. 특징

1) 장점
  - A,B,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음
  - 소화효과 이외 연소제어, 연소확대방지, 출화예방에 효과적임
  - 수손 피해가 스프링클러보다 작음

2) 단점
  - 물방울 입자크기가 작아 스프링클러설비보다는 표면냉각 효과가 떨어짐
  - 열기류, 바람 등의 영향을 받기 쉬움
  - 용도에 따라 배수설비가 필요함

12. 물분무설비 적용 시 고려사항

1)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 : 금수성 물질, 초저온 상태의 액화가스에 직접 살수 금지
2) 물질의 인화점, 온도, 용해성과 투과성, 물분무 온도 등
3) slop over 또는 거품발생 위험성 평가
4) 수용성, 비수용성 체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