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하구화재 2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준

1. 개요 1)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준’ 전면개정 배경 2018년 KT 아현지사 지하구 화재사고를 계기로 연소방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이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준으로 전면 개정됨 2) 지하구 (1) 전력/통신용 전선, 가스/냉난방 배관 등이 집합 수용된 지하 인공구조물 - 전력구 또는 통신구 - 전력구, 통신구 외의 것으로서 폭 1.8m, 높이 2m, 길이 50m 이상 (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동구 2.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 소화기구 (1) 능력단위 - A급 화재 : 3단위 이상 - B급 화재 : 5단위 이상 - C급 화재 : 적응성이 있을 것 (2) 소화기 총중량 : 7kg 이하 (3) 위치 및 개수 : 출입구 부근 5개 이상 (4) 높이 : 바닥면..

소방기술사 2024.11.04

지하구 화재 원인 및 예방대책

1. 개요 1) 지하구 : 전력통신용 전선, 가스, 냉난방 배관 등이 집합 수용된 지하 인공 구조물 2) 지하구에 케이블 화재가 발생하면 전력공급 중단 등으로 사회적 손실이 막대하고 피해복구에도 많은 비용이 소모 2. 지하구 케이블 화재 원인 1) 케이블 자체 발화 - 케이블 접촉부 시공불량으로 온도상승 - 고장전류를 신속히 차단하지 못해 발화 - 절연열화에 따른 절연파괴에 의한 발화 - 다회선 포설에 따른 허용전류 감소로 온도상승 및 발화 2) 외부영향에 의힌 발화 - 기기과열 - 주변부 발화 등 3. 화재특성 1) 공간적 특성 - 밀폐공간 - 화재발생지점의 정확한 파악이 어려움 - 소방대 진입이 어려움 2) 연소적 특성 - 케이블 외피가 폴리에틸렌이나 pvc 이므로 연소속도가 빠르..

소방기술사 2024.08.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