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지하구 화재 원인 및 예방대책

this’myworld 2024. 8. 23. 18:05
반응형

< 지하구 화재 >


1. 개요


1) 지하구 : 전력통신용 전선, 가스, 냉난방 배관 등이 집합 수용된 지하 인공 구조물
2) 지하구에 케이블 화재가 발생하면 전력공급 중단 등으로 사회적 손실이 막대하고 피해복구에도 많은 비용이 소모



2. 지하구 케이블 화재 원인

1) 케이블 자체 발화
  - 케이블 접촉부 시공불량으로 온도상승
  - 고장전류를 신속히 차단하지 못해 발화
  - 절연열화에 따른 절연파괴에 의한 발화
  - 다회선 포설에 따른 허용전류 감소로 온도상승 및 발화

2) 외부영향에 의힌 발화
  - 기기과열
  - 주변부 발화 등

3. 화재특성

1) 공간적 특성
  - 밀폐공간
  - 화재발생지점의 정확한 파악이 어려움
  - 소방대 진입이 어려움

2) 연소적 특성
  - 케이블 외피가 폴리에틸렌이나 pvc 이므로 연소속도가 빠르고 열방출률이 큼
  - 농연, 다량의 독성가스 발생
  - 지하구의 경우 수평으로 연소확대가 빠름

4.대책

1) 예방
  - 난연케이블 사용 (FR-CV, FR-CVV 등 난연케이블 사용)
  - 기존에 설치된 케이블 난연화 (방화시트, 방화테이프, 연소방지도료)
  - 고장전류의 빠른 검출 및 신속한 차단
  - 점검 및 유지관리 (절연열화측정, 접속부 과열여부 수시확인)
  - 다회선 포설 시 허용전류 철저히 검토

2) 소방
  -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광센서형 감지기)
  - 통합감시시설 구축
  - 자동소화설비 설치 (튜브 트레이스 활용, 지하구 인입구 일정구간은 가스계 소화설비를 이용하여 방호, 케이블 접속부에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 설치, 강화액 소화설비 설치)

3) 방화
  - 케이블 관통부 방화조치
  - 방화벽
   *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
   *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
   * 출입문은 60분 또는 60분+ 방화문
   * 관통부는 내화채움구조로 마감
   * 분기구 및 건축물과 지하구가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
   * 자동폐쇄장치 설치 시 제품검사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