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
1. 개요
1) 비상발전기는 상용전원 정전 시에도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에 일정시간 동안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비상전원
2) 비상발전기 적용방식
소방전용 발전기, 소방부하 전용 발전기,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2. 비상발전기 적용방식별 특징
1) 소방전용 발전기
- 소방부하 전용 발전기
- 용량 : 소방부하 용량을 기준으로 함
- 비상부하용 발전기와는 별도로 발전기 필요
- 신뢰성 가장 우수
2) 소방부하 겸용 발전기
- 소방 및 비상부하 겸용 발전기
- 용량 :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합산용량을 기준으로 함
- 별도의 발전기 불필요
- 발전기 용량이 커짐
3)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 소방 및 비상부하 겸용 발전기
- 용량 : 소방부하와 비상부하 중 더 큰 용량을 기준으로 함
- 과부하 접근 시 비상부하 일부 또는 전부를 자동 차단하고 소방부하에 전력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방식
- 별도의 발전기 불필요
- 발전기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음
- 제어가 복잡하므로 신뢰성 낮음
- 성능인증 받은 제어장치 필요
3.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제어방식
1) 일괄 제어방식 : 발전기가 과부하에 접근 시 비상부하 전부를 자동 차단하고 소방부하에 연속적으로 전력 공급
2) 순차 제어방식 : 발전기 과부하 접근 시 비상부하를 순차적으로 차단하고 소방부하에 연속적으로 전력 공급
4. 자가발전설비 적용 시 주의사항
1) 소방부하 겸용 발전기
(1) 문제점
- 비용절감을 위해 고의적으로 비상부하 산정을 누락하거나 수용률 오적용 >> 소방부하 용량이 침범되어 과부하 위험
- 비상발전기 용량계산서 상 오류를 소방감리원 및 소방관이 식별하기 어려움
(2) 대책
- 용량계산서와 전원단선결선도 및 부하일람표 확인 철저
- 소방기관 설계협의 시 철저한 행정지도
- 소방전용 발전기나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적용 권장
2)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1) 문제점
- 부실시공 문제(제어방식이 복잡하므로 부실시공 가능성이 있음)
- 성능이 인정되지 않은 제어장치 설치 사례가 다수 발견
(2) 대책
- 시험성적서 내용을 엄격히 확인
- 준공 시 제어장치 시험 철저
- 비영리 공인기관(한국전기연구원)의 제어장치 성능시험 성적서 확인사항
*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제어장치“ 명칭이 기재
*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에 비상전원이 동시에 공급되고 표시될 것
* 과부하 시 비상부하가 단계적으로 차단되고 표시될 것
반응형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계(소방내진설계) (0) | 2024.08.25 |
---|---|
지하구 화재 원인 및 예방대책 (0) | 2024.08.23 |
Purkinje effect (유도등이 녹색인 이유) (0) | 2024.08.20 |
리튬이온전지, 열폭주 (0) | 2024.08.19 |
NFPA 72 배선방식 (0) | 202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