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 설비 종류

this’myworld 2024. 10. 27. 23:16
반응형

< 스프링클러 설비 종류 >

1. 개요

1)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초기 화재제어 및 진압에 절대적인 역할을 하는 자동식 수계소화설비임
2) 종류
  - 폐쇄형 헤드 방식 : 습식/건식/준비작동식/부압식/스프링클러설비
  - 개방형 헤드 방식 :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2.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1) 동작원리
  - 알람체크밸브 1,2차 측에 소화수 가압
  - 화재 발생 시 폐쇄형 헤드가 개방되면서 소화수 방출

2) 장점
  - 신속한 소화
  - 구조간단, 유지관리 용이

3) 단점
  - 동파 우려
  - 헤드 오개방 시 수손 피해


2.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1) 동작원리
  - 건식밸브 1차 측은 소화수 가압, 2차 측은 압축공기 상태
  - 화재발생 시 폐쇄형 헤드가 개방되면서 압축공기 방출
  - 1차 측 소화수가 이동하여 방출

2) 장점
  - 동결 우려장소에 사용 가능
  - 2차 측 기밀상태 점검용이

3) 단점
  - 소화시간 지연 우려
  - 헤드 오개방 시 수손피해 우려
  - 부대설비가 많아 유지관리가 어려움


4.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1) 동작원리
  - 준비작동식 밸브 1차 측은 소화수 가압, 2차 측은 대기압
  - 화재발생 시 감지기가 동작하여 준비작동밸브 개방
  - 2차 측에 소화수가 충수 되고 폐쇄형 헤드가 개방되면서 소화수 방출

2) 장점
  - 동결 우려장소에 사용 가능
  - 헤드 오개방 시에도 수손피해 없음

3) 단점
  - 별도 감지장치 필요 : 구조복잡, 비용증가
  - 감지기 고장 시 소화수 미방출
  - 2차 측 기밀상태 확인이 어려움
  - 시험할 때 2차 측으로 물을 넘겨보지 않음. 2차 측 배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


5.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1) 동작원리
  - 일제개방밸브 1차 측은 소화수 가압, 2차 측은 대기압 상태
  - 화재 발생 시 감지기가 동작하여 일제개방밸브 개방

2) 장점
  - 동결 우려장소에 사용가능
  - 신속한 소화 가능
  - 층고가 높은 장소에 사용 가능(층고가 높으면 폐쇄형 헤드 동작이 어려움)

3) 단점
  - 별도 감지장치 필요
  - 감지기 오동작 시 대량살수로 수손피해
  - 보유 소화수량 많음


6.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1) 동작원리
  (1) 평상시
      - 진공펌프 작동으로 2차 측 감압
      - 1차 측 가압수, 2차 측 부압수 상태

  (2) 오동작시
      - 2차 측 배관 파손 또는 sp헤드 오개방 발생
      - 공기를 유입되어 2차 측 배관 압력 상승
      - 진공펌프가 동작하여 소화수 방사 방지
      - 수신반에 고장신호 송출

  (3) 화재 시
      - 감지기 동작으로 진공펌프 강제정지 및 프리액션밸브 개방
      - 2차 측에 가압수 충수
      - 헤드가 개방되면서 소화수 방출


2) 장점
  - 방수시간 지연이 없음
  - 헤드 오개방에 의한 수손피해가 없음
  - 기존 준비작동식 설비 활용 가능

3) 단점
  - 설비 복잡, 비용 증가
  - 부압식 전용헤드 사용해야 함
  - 동파우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