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preaction system (국내와 NFPA 방식 비교)

this’myworld 2024. 10. 27. 22:13
반응형

< NFPA Preaction system >

1. 개요

  1) NFPA preaction system 은 주로 스프링클러설비 오작동으로 수손피해가 우려되는 장소에 제한적으로 적용함(박물관, 전시실, 컴퓨터실 등)
  2) 국내의 preaction system은 동파 우려 장소에 적용(아파트 지하주차장 등)


2. NFPA에 의한 구분

3. single-interlock system (국내)

1) 동작방식 : 감지기 작동에 의해서만 프리액션밸브를 개방하는 방식
2) 장점 : 시간지연이 짧음 / sp헤드 오개방 시 수손피해 없음
3) 단점 : 감지기 고장 시 작동불가
4) 기준
  - 프리액션 밸브 1개 당 헤드 1,000개 이하
  - 보조저장을 제외한 저장시설은 격자형 제외

4. Double-interlock system

1) 동작방식 : 감지기와 sp 헤드 모두 작동 시 프리액션밸브를 개방
2) 장점 : 오작동에 의한 수손피해 최소화 / 관리측면에서 안정성 있음
3) 단점 : 시간지연 / 감지기 고장 시 작동불가
4) 기준
  - 2차 측 배관 내용적 500 gallons 이내(시간지연 최소화를 위함)
  - 방수지연시간 : 60초 이내 (500 gallons 초과 시)
  - 격자형 제외
  - 설계면적 30% 증가 (살수밀도는 유지) >> sp헤드 기준개수를 늘리라는 말
  - 감시 공기압 0.5 bar 이상


5. None-interlock system

1) 동작방식 : 감지기 또는 sp헤드 중 하나만 작동해도 프리액션밸브 개방
2) 장점 : 감지기 고장 시에도 정상작동 가능
3) 단점 : 수손피해 발생 가능성 있음
4) 기준
  - 프리액션밸브 1개에 헤드 수 1000개 이하
  - 보조저장을 제외한 저장시설은 격자형 제외
  - 감시 공기압 0.5 bar 이상

6. 국내 preaction system

1) single-interlock system
2) 감지회로는 교차회로 방식 적용
3) 동작 mechanism
  - 감지기 a, b 회로 동작 > 밸브 개방 > 2차 측 충수 > sp헤드 개방 > 소화수 방사


7. 개선사항

1) 국내의 경우 헤드 수, 격자형 배관 사용여부, 배관 내용적, 공기압 관련 기준이 없으므로 규정 마련 필요
2) 국내의 교차회로 방식은 밸브개방까지 시간지연의 문제가 있으므로 특수감지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3)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준비작동식 밸브는 2차 측이 대기압의 공기라서 유지관리가 어려움. 그러므로 NFPA와 같이 밸브 2차 측에 감시용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설비 개선이 필요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