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펌프 직렬/병렬 운전 >
1. 개요
1) 펌프 운전 검토 시 펌프의 직렬 또는 병렬연결을 검토함으로써 효율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2) 고양정 필요시 : 직렬운전 또는 다단형 펌프
3) 대유량 필요 시 : 병렬운전 또는 양흡입 펌프
2. 직렬운전
1) 운전특성
(1) 동일 특성 직렬운전
ⓐ 1대 단독운전 시 : Q1, H1 점에서 운전
ⓑ 2대 직렬운전 시 : Q2, H2 점에서 운전
- 실제 각각 펌프는 양정 H1이 아닌 1/2H2로 운전
- 유량이 늘어난 만큼 양정은 감소함
(2) 다른 특성 직렬운전
ⓐ 2대 직렬운전 시 저항곡선이 완만하여 한계점을 넘게 되면 소용량 펌프가 저항으로 작용하여 대용량 펌프 1대를 단독으로 운전하는 것보다 양정이 감소함 → 소용량 펌프 정지 필요
2) 적용
(1) 고층 건축물 고양정 확보
(2) 연결송수관을 통한 급수방식
3) 고려사항
(1) 양정 증가율은 배관 저항곡선에 따라 크게 달라짐
(2) 상류 측 펌프에는 가압수가 공급되므로 흡입관 내압에 주의해야 함
(3) 용량이 다른 펌프 연결 시 대용량 → 소용량 순으로 연결 (Cavitaion 방지)
(4) 직렬운전 시 전체시스템 신뢰도가 저하된다는 것을 고려
3. 병렬운전
1) 운전특성
(1) 동일 특성 병렬운전
ⓐ 1대 단독운전 시 : Q1, H1 에서 운전
ⓑ 2대 병렬운전 시 : Q2, H2 에서 운전
- 실제 각 펌프는 Q1 이 아닌 1/2Q2에서 운전
- 양정이 늘어난 만큼 유량은 감소함
ⓒ 저항곡선 기울기가 완만할 수록 유량 증대효과는 커짐
(2) 다른 특성 병렬운전
저항곡선이 가팔라 한계점을 넘게 되면 소용량 펌프는 양정이 부족해서 양수불능이 됨
2) 적용
(1) 대단위 건축물에서 대유량 확보
(2) 국내 충압펌프 사용방식
3) 고려사항
(1) 대수 제어로 유량조정 가능
(2) 펌프 한 대 운전 시 다른 펌프로 역류방지를 위해 각 펌프에 체크밸브 설치
4. 저항곡선에 따른 직/병렬운전 선정조건
* 기본적으로 직렬운전은 고양정, 병렬운전은 대유량을 위한 배치임
1) R1 저항곡선 : 직렬운전보다 병렬운전이 유량과 양정이 큼
2) R2 저항곡선 : 직렬과 병렬 모두 동일한 유량, 양정
3) R3 저항곡선 : 직렬운전이 유량, 양정 모두 크므로 유리함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압밸브 개념과 종류 설치 시 고려사항 (1) | 2024.10.22 |
---|---|
수계소화설비 압력상승 원인 및 대책 (0) | 2024.10.22 |
소화펌프 대수분할 필요성 (0) | 2024.10.22 |
펌프의 압력세팅 (0) | 2024.10.21 |
1차 압력계, 2차 압력계 (0)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