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펌프의 압력세팅 >
1. NFPA 기준
1) 충압펌프 정지점 : 주펌프 체절압력 + 최소정수압
2) 충압펌프 기동점 : 충압펌프 정지점 -10psi
3) 주펌프 기동점 : 충압펌프 기동점 -5psi
4) 예비펌프 기동점 : 주펌프 기동점 - 10psi
5) 주펌프 정지 : 수동정지가 원칙 / 타이머를 설치해 체절압력+최소정수압 이상이 일정시간 지속되면 자동정지 가능

2. 국내기준
1) 펌프의 기동, 정지에 대한 압력세팅 기준 없음
2) 화재안전기준에서 주펌프 자동정지 금지
3) 펌프 압력세팅 예시
(1) 주펌프 정지점 : 체절압력보다 높게 세팅
(2) 릴리프밸브 세팅 : 주펌프 체절압력 - 0.05MPa
(3) 충압펌프 정지점 : 주펌프 체절압력 - 0.1MPa
(4) 충압펌프 기동점 : 충압펌프 정지점 - 0.1MPa
(5) 주펌프 기동점 : 충압펌프 기동점 - 0.1MPa
(6) 예비펌프 기동점 : 주펌프 기동점 - 0.1MPa
3. 주펌프 자동정지 방지 방법
1) 주펌프 정지점을 체절압력보다 높게 세팅
2) 제어반에 자기유지회로를 구성하여 계속 동작신호 송출
4. 개선사항
1) NFPA와 같이 구체적인 펌프 기동점, 정지점 명시
2) 압력스위치 정밀도 개선
3) 압력챔버방식보다는 전자식 압력스위치 방식 적용검토
반응형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프의 직렬운전, 병렬운전 각 특성 비교(그래프 해두기!) (0) | 2024.10.22 |
---|---|
소화펌프 대수분할 필요성 (0) | 2024.10.22 |
1차 압력계, 2차 압력계 (0) | 2024.10.21 |
벤츄리 유량계와 소방에서 활용 (0) | 2024.10.20 |
오리피스 유량계 관계식, 제연설비 누설량(Q) 계산 (0) | 202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