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클러 소화특성 >
1. 개요
1) 감지특성 : RTI, 표시온도, C-factor
2) 방사특성 : K-factor, 디플렉터
3) 감지특성과 방사특성에 의해 화제제어, 화재진압 여부가 결정
2. 화재감지 특성
1) 표시온도
- 감열부가 일정온도 이상 되며 헤드가 개방되어 소화수 방사
- 설치장소별 최고온도와 표시온도
39, 64, 106 / 79,121,162도
2) RTI
- 반응시간지수
- 감열체가 열을 흡수하는 능력으로 열흡수 능력이 뛰어나면 조기감지 가능함
- 관계식 : RTI = 타우루트유, 타우 = mc/ha
관계식 의미 : 열용량이 작고 면적이 클 수록 RTI 작아지므로 조기감지 (RTI는 시간개념)
- 시정수 : 감열부 온도가 주위온도(열기류 온도)의 63.2% 되는 지점을 시정수라고 함
3) C-factor
- 열전도계수
- 감열체에서 흡수한 열량이 배관,프레임 등으로 빠져나가는 손실열량
- C-factor가 작을수록 조기감지 가능
4) ISO 기준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의 특성
- 조기반응형 c 1 rti 50
- 특수반응형 c 1 rti 80
- 표준반응형 c 2 rti 350
3. 방사특성
1) K-factor
- 헤드 오리피스 구경,형태 등으로부터 방수량 결정
- 물방울 크기가 크면 화심침투 등으로 화재 진압 가능
- 방수량 관계식
2) 디플렉터
- 살수각도 및 방향을 결정하는 요인
4. 화재진압 및 화재제어
1) 화재제어
- 주변냉각을 통해 열방출률을 서서히 감소시킴, 연소확대방지
- 열방출률 관계식에서 A값을 제어함
2) 화재진압
- 물방울의 화심침투를 통해 열방출률을 급격히 감소
- 열방출률 관계식에서 연소속도 제어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기제어, 고층건축물 연기유동 (소방기술사) (0) | 2025.05.03 |
---|---|
대략 5달만에 쓰는 소방기술사 공부 후기 (0) | 2025.04.25 |
송풍기 정의와 종류 (0) | 2024.11.30 |
가스계 소화설비 관련 엔지니어드 vs 프리엔지니어드 방식 (0) | 2024.11.30 |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의 설계/시공상 문제점 및 개선사항 (0)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