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 공부를 하다보니 input만큼이나 output이 중요하단걸 알게 되었다
기술사 답안지는 output 이니깐
좀 더 효율이 좋은 공부법을 고민하다가 블로그에 output을 해보기로 했다
<연기제어>
1. 개요
연기는 화재 시 발생하는 고체, 기체 미립자 총칭
0.01 ~ 10마이크로미터 입자
연기 = 연소생성물 + 분해생성물 + 인입공기 (인연분)
2. 연기특성
광선흡수, 화염발생, 산소결핍 초래, 고온, 유독가스 (광유화산고)
3. 연기제어 기본개념
구획, 가압(제연), 축연, 배연, 연기강하방지, 희석
<고층건축물 연기유동>
1. 고층건축물에서 연기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바람, 부력, 연돌효과, 공조, 피스톤효과, 팽창
2. 바람
1) 바람에 의해 압력차 형성 > 연기유동
2) 바람에 의해 불어오는 방향은 양압, 불어나가는 방향은 부압 형성
3) 고층으로 갈 수록 풍속 증가
4) 바람은 중성대 변화 유발
3. 부력, 연돌효과
1) 온도가 증가할수록 밀도는 감소하여 부력 발생
2) 화재실 온도 ~ 화재실과 면한 공간 온도차에 의해 연돌효과 발생
4. 공조
1) 공조시스템에 의해 연기유동 활성화될 수 있음
2) 감지기 등을 이용해서 화재시 폐쇄될 수 있는 방화댐퍼 필요
5. 피스톤효과
1) 정의 : 승강기 상/하강 시 공기 흐름에 의해 부압/양압이 형성되는 것
2) 문제점 : 화재확산 촉진, 화재실 공기유입, 연기확산, 방연풍속 영향
3) 대책 : 유선형 승강기 사용, 승강로와 승강기 간격확보, 복수형 승강기 사용, 승강로 상하부 air hole, fan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클러 소화특성 (소방기술사) (0) | 2025.05.03 |
---|---|
대략 5달만에 쓰는 소방기술사 공부 후기 (0) | 2025.04.25 |
송풍기 정의와 종류 (0) | 2024.11.30 |
가스계 소화설비 관련 엔지니어드 vs 프리엔지니어드 방식 (0) | 2024.11.30 |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의 설계/시공상 문제점 및 개선사항 (0)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