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연기제어, 고층건축물 연기유동 (소방기술사)

this’myworld 2025. 5. 3. 15:40
반응형

기술사 공부를 하다보니 input만큼이나 output이 중요하단걸 알게 되었다

 

기술사 답안지는 output 이니깐

 

좀 더 효율이 좋은 공부법을 고민하다가 블로그에 output을 해보기로 했다

 

 

 

<연기제어>

 

1. 개요

연기는 화재 시 발생하는 고체, 기체 미립자 총칭

0.01 ~ 10마이크로미터 입자

연기 = 연소생성물 + 분해생성물 + 인입공기 (인연분)

 

2. 연기특성

광선흡수, 화염발생, 산소결핍 초래, 고온, 유독가스 (광유화산고)

 

3. 연기제어 기본개념

구획, 가압(제연), 축연, 배연, 연기강하방지, 희석

 

 

<고층건축물 연기유동>

 

1. 고층건축물에서 연기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바람, 부력, 연돌효과, 공조, 피스톤효과, 팽창

 

2. 바람

1) 바람에 의해 압력차 형성 > 연기유동

2) 바람에 의해 불어오는 방향은 양압, 불어나가는 방향은 부압 형성

3) 고층으로 갈 수록 풍속 증가

4) 바람은 중성대 변화 유발

 

3. 부력, 연돌효과

1) 온도가 증가할수록 밀도는 감소하여 부력 발생

2) 화재실 온도 ~ 화재실과 면한 공간 온도차에 의해 연돌효과 발생

 

4. 공조

1) 공조시스템에 의해 연기유동 활성화될 수 있음

2) 감지기 등을 이용해서 화재시 폐쇄될 수 있는 방화댐퍼 필요

 

5. 피스톤효과

1) 정의 : 승강기 상/하강 시 공기 흐름에 의해 부압/양압이 형성되는 것

2) 문제점 : 화재확산 촉진, 화재실 공기유입, 연기확산,  방연풍속 영

3) 대책 : 유선형 승강기 사용, 승강로와 승강기 간격확보, 복수형 승강기 사용, 승강로 상하부 air hole, fa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