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수동잠금밸브 문제점

this’myworld 2024. 11. 24. 19:52
반응형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수동잠금밸브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



1. 수동잠금밸브 목적

  방호구역에 출입 시 수동으로 해당밸브를 폐쇄하여 약제 방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


2. 국내기준(NFSC)

  1) 소화약제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사이의 집합배관에 수동잠금밸브 설치하되 선택밸브 직전에 설치
  2) 선택밸브가 없는 경우 저장용기실 내에 설치하되 조작 및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
  3) 수동잠금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등 설치


3. NFPA 기준

1) 정의
   주배관과 노즐사이의 방출배관에 설치하여 방호구역 내에 이산화탄소가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

2) 설치장소
  공간 여건 상 출입이 불가능한 장소를 제외하고 반드시 설치할 것

3) 감시기능
  (1) 수동잠금밸브 개폐상태 감시 기능
  (2) 압력스위치는 수동잠금밸브 이전에 부착

4) 압력등급
  (1) 고압식 :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지 않을 경우 최소파열압력 5000 psi 이상
  (2) 저압식 : 1800 psi의 정수압 시험을 거친 밸브 사용

5) 안전밸브
  


4. 국내 문제점

1) 수동잠금밸브를 집합관에 설치할 경우 방호구역에서 관리가 어렵고 저장실까지 가야 하므로 비합리적임
2) 집합관 1개소에 설치 시 다른 방호구역까지 소화 불가능한 상태
3) 주 수신기에서 수동잠금밸브 개폐여부 확인을 할 수 있는 기준 부재
4) 수동잠금밸브 압력등급에 대한 기준 부재
5) 수동밸브와 같이 안전밸브를 설치하는 기준 부재


5. 개선사항

1) 수동잠금밸브를 선택밸브 이후의 방호구역에 설치
2) 주 수신기에서 수동잠금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회로 구성
3) 밸브의 압력등급 및 안전밸브 설치 기준 마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