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 >
1. 개요
1)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는 고농도 에어로졸 형태의 화학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설비로 소화효과는 부촉매 작용을 통한 연쇄반응 억제임
(칼륨 화합물 사용)
2) 물분무등소화설비로 편입되고 화재안전기준이 제정되어 법적 토대 마련
2. 소화원리
1) 부촉매작용 (주된 소화효과)


2) 냉각작용
수증기 및 흡열반응에 의한 냉각
3) 질식작용
산소농도를 일부 낮추는 희석질식
3. 구조

4. 동작방식
1) 유리벌브 작동방식
조기반응형 유리벌브를 사용하여 ceiling jet flow를 감지하여 동작
(천장에서 30cm 이내 설치)
2) 전기식 작동방식
(1)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여 수신반을 통해 신호를 전달하여 동작
(2) 공기흡입형 연기감지기, 아날로그 감지기
5. 특징
1) 장점
- 소화성능 우수
- A, B, C급 화재 적용 가능
- GWP(지구온난화지수), ODP(오존층파괴지수), ALT(대기중잔존년수) 모두 0 임
- 간편한 설치 및 소형화(압력용기 및 배관 등 불필요, 가스계소화설비에 비하여 차지하는 공간이 적음)
- 별도 유지보수 불필요
- 다양한 소화시스템 구성 가능(대공간 전역방출 / 국소 밀폐공간 내부)
2) 단점
- 수명이 짧음 (10년 마다 교체 필요)
- 소음발생
- 가시도 저하
- 고온, 난기류 >>> 방폭지역에 적용이 어려움
6. 설치장소
1) 전기분전반 내부
2) 지하구의 전력케이블 접속부 상단
3) EPS실, TPS실
4) 전산실, 제어실
5) 선박의 엔진실, 화물실 등
7. 결론
1) 환경협약에 따라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는 사용에 제한을 받으므로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의 사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
2) 고체에어로졸 소화설비는 심부화재에 대한 적응성이 떨어지므로 방호대상물의 화재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말소화약제 종류 (0) | 2024.11.18 |
---|---|
고체에어로졸소화설비 화재안전기준 (1) | 2024.11.17 |
강화액 소화약제 (1) | 2024.11.16 |
포 기동장치 (수동식, 자동식) (0) | 2024.11.16 |
고발포용 고정포 방출구 설치기준 (1) | 202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