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열 spot형 감지기 특성(차/보/정), 차동식 spot형 열감지기

this’myworld 2024. 8. 12. 01:20
반응형

<열 spot형 감지기 특성 비교>

1. 개요

1) 열 spot형 감지기는 연소생성물 중 열을 감지하는 방식의 감지기
2) 신뢰도는 높지만 연기, 불꽃 감지기에 비해 시간지연되는 단점이 있음

2. 종류 (차/보/정)

1) 차동식 : 주위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 되었을 때 동작
2) 정온식 : 주위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시 동작
3) 보상식 : 차동식과 정온식의 특성을 모두 가짐

3. 동작 특성 곡선


1) t : 급격한 온도상승(불꽃 연소)

- 동작 빠르기는 보 / 차 / 정 순서임
- 정온식의 경우 동작시간이 늦는 단점이 있음

2) s : 완만한 온도상승(작열연소)

- 차동식에서는 실보 우려
- 정온식 / 보상식에서는 적용 가능

3) m : 일시적 온도상승(주방)

  - m 곡선은 주방에서 조리 중 발생하는 열을 나타내고 있음
  - 차동식 / 보상식의 경우 비화재보 발생
  - 정온식은 사용 가능


<차동식 스포트형 열감지기>

1. 개념

- 일국소 주위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 되었을 때 동작하는 감지기
- 1종(10도/min), 2종(15도/min)

2. 종류 (공기식 / 열기전력식 / 서미스터 방식 / 감열사이리스트)

1) 공기식 (다이어프램식)

  - 화재 시 > 감열실 공기 팽창 > 다이어프램 밀어올림 > 접점과 다이어프램이 붙음 > 수신기에 화재신호 전송
  - 완만한 온도 상승 시 리크구멍으로 공기배출

2) 열기전력식

  - 화재 시 > 열전대 온도차 발생 > 열기전력 발생 > 전류가 흘러 릴레이 동작 > 수신기 화재신호 전송
  - 완만한 온도 상승 시 냉접점 ~ 온접점 온도차가 적어 미동작


3) 서미스트 방식

  - 평상 시 > a ~ b 간 전위차가 없어 릴레이 미동작
  - 화재 시 > 외부 서미스터가 먼저 열감지 > 외부 서미스터 저항 감소 > a ~ b 간 전위차 발생 > 릴레이 동작 > 수신기에 화재신호 전송





4) 감열사이리스트 방식

- 화재가 발생하여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사이리스트가 turn on 하여 전류를 흘려 신호 전송


반응형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rkinje effect (유도등이 녹색인 이유)  (0) 2024.08.20
리튬이온전지, 열폭주  (0) 2024.08.19
NFPA 72 배선방식  (0) 2024.08.17
화재감지기에 쓰이는 서미스터  (0) 2024.08.16
소방 감지기 설치제외 기준  (0) 2024.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