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 헤드별 특징 비교 >
1. 감지특성, 방사특성을 생각하면서 특징 비교
2. 비교표 (암기)

< Sprinkler 종류 >
1. 감열체 형태에 따른 종류
(1) 퓨지블링크 : 열에 의해 용융성분이 녹아 개방
(2) 유리벌브 : 열에 의해 밀폐된 액체 팽창으로 유리벌브 파괴
2. 살수분포 형태에 따른 종류
(1) 상용(conventional)
- 방호구역 천장에 설치
- 총방사량의 40 ~ 60%를 하방향 및 상방향으로 각각 물 방사
- 방사형태 : 구형
(2) 평면 분무형(flat spray)
- 방호구역 천장에 설치
- 총방사량의 60 ~ 80%를 하방향으로 방사
- 방사형태 : 포물선형
(3) 분무형 (spray)
- 방호구역 천장에 설치
- 총방사량의 100% 하방향으로 방사
- 방사형태 : 포물선형
(4) 측벽형(sidewall)
- 방호구역 측면에 설치
3. 설치위치에 따른 종류
(1) 상향 스프링클러
(2) 하향 스프링클러
(3) 수평방향 스프링클러
4. 특수용도 스프링클러
(1) 건식 상향 스프링클러 / 건식 하향 스프링클러
- 물과 스프링클러 오리피스가 롱니플에 의해 분리되어 있음
- 건식의 주목적은 동파방지임
(2) 플러쉬형 스프링클러
- 감열부만 반자 아래로 노출된 스프링클러
(3) 리세스드 스프링클러(Resessed)
- 스프링클러 몸체 일부 또는 전체를 오목한 홈통 내 설치
(4) 컨실드형 스프링클러(Concealed)
- 주로 해외에서 많이 사용, 덮개판이 있는 리세스드 SP
(5) 온오프 스프링클러
- 미리 설정된 온도에서 자동으로 개폐가 반복되는 SP
5. 감도특성에 따른 분류
(1) Fast response : RTI 50, C 1 이하 (단위생략)
(2) Special response : RTI 50 ~ 80, C 1 이하
(3) Standard response : RTI 80 ~ 350, C 2 이하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DD, ADD 개념과 RTI와의 관계 (0) | 2024.10.24 |
---|---|
K-Factor 개념과 특징 (0) | 2024.10.24 |
감열체 동작시간 관계식 (0) | 2024.10.24 |
스프링클러 소화특성 (0) | 2024.10.23 |
노즐에서 방수량 유도(관계식) (0)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