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정전기 >
1. 개요
1) 정전기는 전하의 공간적 이동이 적어 전류에 의한 자계효과가 전계효과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아주 작은 전기를 의미함
2) 정전기가 방전이되면서 화재 및 폭발이 발생할 수 있음
2. 정전기 발생원리

1) 접촉 전 중성상태
2) 외부에너지(충격, 마찰 등)에 의한 전하의 이동
3) 전기이중층 형성
4) 전하분리에 의한 정전기 발생
3. 대전현상
1) 개념
정전기가 물체에 축적되어 전기를 띠는 현상
2) 종류 (마박유적비유충분침)
(1) 마찰대전
물체가 마찰할 때 전하분리가 일어나서 발생

(2) 박리대전
서로 밀착되어 있는 물질이 떨어질 때 전하분리에 의해 발생

(3) 유동대전
절연성 유체가 관내를 흐를 때 유체 상호 간 및 관벽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

(4) 적하대전
고체표면에 부착된 액체류가 성장해서 액적이 되어 떨어질 때 발생
(5) 비말대전
공간에 분출된 액체류가 비산되어 분리되고 이 과정에서 표면적이 넓어지면서 발생
(6) 유도대전
대전된 물체 부근에 다른 물체가 접근할 때 정전유도에 의해 발생
(7) 충돌대전
입자 상호간 충돌 또는 용기 벽과 충돌할 때 발생
(8) 분출대전
단면적이 작은 개구부를 통해 분출될 때 마찰에 의해 발생

(9) 침강대전
절연성 유체 중 비중이 다른 부유물이 침강할 때 발생
3) 영향요인 (이특표면속)
(1) 물체이력
(2) 물체 특성
(3) 물체 표면상태
(4) 접촉면적 및 접촉압력
(5) 분리속도
반응형
'소방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염의 개념, 방염대상, 방염 성능기준 (0) | 2024.09.10 |
---|---|
연돌효과란? (0) | 2024.09.09 |
아산화동 발열현상 (0) | 2024.08.30 |
달톤의 분압법칙, 라울의 법칙 (0) | 2024.08.29 |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계(소방내진설계)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