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스프링클러 소화특성

this’myworld 2024. 10. 23. 22:00
반응형


< 스프링클러 소화특성 >

1. 개요

  1) 화재감지 특성 : 표시온도, RTI, C-Factor
  2) 방사 특성 : K-Factor, Deflector
  3) 화재진압 및 화재제어
    - 감지특성, 방사특성에 의해 화재진압 또는 제어 여부가 결정됨


2. 화재감지 특성

  1) 표시온도
    (1) SP 헤드 감열부가 표시온도에 도달 시 개방
    (2) 주위온도에 따른 SP헤드 표시온도

    (3) 주거용 SP : 57 ~ 74도, ESFR : 74도, 클린룸 : 57도

  2) RTI(반응시간지수)

     (1) 개념
        - 열흡수 능력, 감열부가 얼마나 빨리 열을 흡수하는지를 나타내는 특성값

      (2) 관계식
    


      (3) 의미
        - 열용량(mc)이 작고 감열부 면적이 클수록 RTI 값은 작아지고 감열부는 조기작동함 ( 반응시간지수가 작아지며 빠르게 반응한다는 말)


  3) C-Factor (열전도계수)

    (1) 개념 : 열방산 능력으로 sp 감열부가 흡수한 열량 중 배관, 프레임으로 방출되는 열손실량의 특성값
    (2) 의미 : 열전도계수가 작을수록 조기작동 가능


  4) ISO 기준에 따른 SP 헤드 감도 범위




3. 방사특성

  1) K-Factor
      (1) SP헤드 오리피스 구경,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며 방수량을 결정
      (2) K-Factor 가 큰 경우 물방울의 크기가 커서 화심침투 우수
      (3) 관계식

  2) Deflector
      (1) 물의 방수각도 및 방향을 결정
      (2) 방수각도가 좁을 경우 살수밀도 증가
      (3) 방수각도가 넓을 경우 살수밀도는 감소하지만 주변 가연물이나 벽을 적셔서 화재 제어효과 증가


4. 스프링클러 화재제어 및 화재진압특성

  1) 화재제어

    (1) 주위 가연물에 미리 방수하여 연소확대 방지, 열방출률을 서서히 감소시켜 화재를 제어
    (2) 열방출률 관계식에서 면적을 제어하는 방법



  2) 화재진압(ESFR)

    (1) 충분한 양의 물방울이 화심에 침투하여 열방출률 급감시켜 화재진압
    (2) 열방출률 관계식에서 연소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3) ADD > RD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