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기술사
연료지배형 화재, 환기지배형 화재 관련 정리
this’myworld
2024. 9. 11. 21:04
반응형
< Post - flashover 가스층 상승온도 >
1. Babrauskas 계산식
1) post - flashover에서 실의 상부 가스온도를 결정하는 식
2) 관계식

2. 영향요소
1) 화학양론적 연소율
2) 벽의 정상상태 손실
3) 벽의 과도상태 손실
4) 개구부 높이 영향
5) 연소효율
< pre-flashover(연료지배형 화재), post-flashover(환기지배형 화재) >
1. 개요
1) 구획된 건물 화재 시 일반적으로 flashover 발생 전에는 연료지배형 화재, 발생 후에는 환기지배형 화재의 형태를 나타냄
2) 온도~시간 곡선

2. 연료지배형 화재(pre-flashover)
1) 재료의 특성에 지배를 받는 화재로 공급은 충분하고 연료가 부족한 상태에서 화재 형태
2) 연소속도

3) 열방출속도

4) 화재성장속도
(1) 화재성장을 시간의 함수로 표현
(2) 열방출량이 1MW에 이르기 까지 4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음

3. 환기지배형 화재
1) 환기요소에 지배를 받은 화재로서 공기 공급이 충분하지 않을 때의 화재 형태
2) 공기유입속도

3) 열방출속도

4) 화재지속시간

4. 소방대책
1) 연료지배형 화재
- 조기감지 : 성능이 우수한 감지기 활용(불꽃감지기, 아날로그 감지기)
- 조기소화 : RTI가 낮은 스프링클러 적용, 개방형 헤드 사용 고려
- 조기피난 : 양방향 피난 확보, 피난용량 증대
2) 환기지배형 화재
- 방화구획을 통한 연소확대 방지
- 내화설계를 통한 내화성능 확보(차열성, 차염성, 하중지지력)
반응형